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의성·경북 산불 원인과 피해 현황(성금. 자원봉사 참여방법)

by 집짓기 2025. 3. 30.

2025년 3월, 경북 의성·경남·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역대 최악의 대형 산불이 10일간 이어진 끝에 주불 진화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산불로 4만8천㏊의 산림과 주택 3천여 채가 소실되는 등 사상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2025 의성·경북 산불 피해 현황 (3월 30일 기준)

  • 산림 피해 : 4만8천㏊ 소실
  • 인명 피해 : 사망 30명 포함, 총 75명 사상
  • 주택 피해 : 3천여 동 전소, 농업·국가유산 등 2,000여 건 피해
  • 이재민 : 2만4,000명 대피 → 현재 약 9,300명 귀가 어려움
  • 진화 상황 : 주불 진화 완료, 일부 지역 잔불 정리 중

특히, 3월 30일 오전 전남 순천시 송광면 월산리 산불도 추가로 발생했으나, 이날 오후 1시 20분경 진화 완료(진화율 100%) 되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산불 진정 시까지 경북 지역에 상주하며 총괄 지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현재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6차 회의를 열어 △이재민 지원 △산불 피해 복구 △전기·수도·통신 등 생활 기반 복구 상황을 점검 중입니다.

주요 지원 내용

  • 임시 조립주택 공급, 민간 숙박시설 활용
  • 긴급 생활안정지원금 지급
  • 심리회복 지원, 고령자·요양병원 환자 특별 관리
  • 자원봉사자 1만 명 투입, 성금 550억 원 모금
  • 이재민 대상 영농·의료·통신비 등 민생 지원

실시간산불정보

왜 이렇게 피해가 컸을까?

산림 전문가들은 이번 산불의 원인으로 고령 침엽수림, 빽빽한 조림 구조, 기후 변화를 꼽고 있습니다.
고온·건조한 날씨, 강풍, 높은 일교차가 겹치며 시속 8.2km 속도로 불길이 확산되었습니다.

거에는 봄·가을에만 산불이 집중됐지만, 이제는 연중 상시 재난화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향후 대응 방안

  • 드론·열화상 장비·초대형 헬기 등 첨단 장비 확대
  •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자율 순찰 및 사전 대피 계획 강화
  • 산림 구조 자체 개선 (고사목 정리, 나무 간격 조정 등)

정부는 산불 예방·초기 대응 체계의 대전환을 예고하며, 산림청 조직 확대와 365일 대응 체계 구축을 추진 중입니다.

 

경북 산불 피해복구를 위한 긴급 모금

긴급 정보 요약

▶ 이재민 지원 안내 :[행정안전부 044-205-6183 / 산림청 042-481-4251]


성금·자원봉사 참여 방법 확인하기